"사운드 스테이지(Sound Stage)"의 정확한 개념은 무엇인가?
음향 문화의 발상지 미국에서는 'Sound Field'와 'Sound Stage' 두 용어가 음장(音場) 관련됩니다. 'Sound Stage'는 주로 무대 위 악단의 배열 위치/형상(가로·세로·높이)을 의미하는 3차원 공간 개념이며, 우리가 말하는 "음장"은 바로 이 'Sound Stage'를 지칭합니다. 'Sound Field'는 이전에 소개한 "공간감"에 대응됩니다. 따라서 "음장의 형상"이란 재생 장비가 구현한 악단 배열의 형태를 의미합니다. 주파수 응답 불균일 및 스피커 지향성 영향으로 실제 재생 음장은 원본 레코딩과 차이가 있습니다.
주의사항: 라이브 공연 시 악단은 가로 > 세로 배열이 일반적이지만, 스튜디오 레코딩은 음향 효과 창출을 위해 세로 길이를 확장(특히 타악기 배치)합니다.
"음장의 위치"
위치 요소: 전후/고저 위치. 스피커 배치/주파수 응답 문제로 음장이 공중에 떠 있거나 2층에서 무대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이상적 위치 기준 (교향악단 재생 시):
- 저음/첼로: 시선 아래 위치
- 바이올린: 저음 악기보다 약간 상단
- 금관 악기: 바이올린 높이 이상
- 전체 높이: 앉은 상태에서 시선 높이보다 약간 낮게
- 전후 위치: 스피커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영역 (과도한 "후퇴"는 오류)
"음장의 너비"
스피커 측면을 넘어 벽면까지 확장되는 것이 정상입니다. 대중음악에서는 악기가 스피커 외부에서 발음되기도 하며, 클래식에서는 악단이 스피커 간격보다 넓게 재현되어야 합니다. "벽을 뚫고 나간다"는 표현은 비현실적이므로 벽 내 범위로 이해해야 합니다.
"음장의 깊이"
"깊이감"은 "층위감" 또는 "위치감"과 구별되며, 음장의 핵심 요소입니다. 최전면 악기(바이올린)와 최후면 악기(큰북/팀파니) 간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중저음 과다 시 후면 악기가 전진되어 깊이감이 약화되며, 음장 전체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도 오류입니다. 악대가 세로로 배열되지 않음을 고려하여 "바이올린~타악기 거리" 개념으로 정확히 판단해야 합니다.
주의사항: 라이브 공연 시 악단은 가로 > 세로 배열이 일반적이지만, 스튜디오 레코딩은 음향 효과 창출을 위해 세로 길이를 확장(특히 타악기 배치)합니다.
"음장의 위치"
위치 요소: 전후/고저 위치. 스피커 배치/주파수 응답 문제로 음장이 공중에 떠 있거나 2층에서 무대를 보는 듯한 느낌을 줄 수 있습니다.
이상적 위치 기준 (교향악단 재생 시):
- 저음/첼로: 시선 아래 위치
- 바이올린: 저음 악기보다 약간 상단
- 금관 악기: 바이올린 높이 이상
- 전체 높이: 앉은 상태에서 시선 높이보다 약간 낮게
- 전후 위치: 스피커 전면에서 후방으로 연장된 영역 (과도한 "후퇴"는 오류)
"음장의 너비"
스피커 측면을 넘어 벽면까지 확장되는 것이 정상입니다. 대중음악에서는 악기가 스피커 외부에서 발음되기도 하며, 클래식에서는 악단이 스피커 간격보다 넓게 재현되어야 합니다. "벽을 뚫고 나간다"는 표현은 비현실적이므로 벽 내 범위로 이해해야 합니다.
"음장의 깊이"
"깊이감"은 "층위감" 또는 "위치감"과 구별되며, 음장의 핵심 요소입니다. 최전면 악기(바이올린)와 최후면 악기(큰북/팀파니) 간의 거리를 의미합니다. 중저음 과다 시 후면 악기가 전진되어 깊이감이 약화되며, 음장 전체가 후방으로 밀리는 것도 오류입니다. 악대가 세로로 배열되지 않음을 고려하여 "바이올린~타악기 거리" 개념으로 정확히 판단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