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무대 모니터링에서 피드백 하울링을 피하는 방법

2025-05-29
   무대 모니터 스피커는 무대에서 밴드에 지상 반송 확성을 제공하는 스피커를 의미합니다.
   피드백 전 이득을 그래픽 이퀄라이저 적용 전에 최적화하는 것이 확성 시스템에서 가장 오해받는 부분 중 하나인 이유는, 반송 스피커를 무대의 어느 위치에나 배치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아래 설명된 몇 가지 팁은 오해를 벗어나 더 많은 피드백 전 이득을 얻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마이크가 아직 하울링을 일으키지 않았더라도 낮고 '텅 빈' 소리를 들을 수 있습니다. 건물 자체의 음향 환경도 이러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지만, 마이크가 너무 많은 신호를 이차적으로 수음하여 시스템 신호 체인으로 전송되었기 때문일 가능성이 높으며, 그 결과 매우 날카롭고 불쾌한 피드백 하울링을 듣게 될 것입니다.
   시스템 최적화에 대해 논의하기 전에, 반드시 숙지해야 할 몇 가지 기본 지식이 있습니다. 무대 모니터 스피커의 배치를 이해하려면 사용 중인 마이크의 유형을 이해해야 합니다.
   마이크 수음 패턴
   마이크의 수음 패턴에 따라 일반적으로 심플하게 옴니지향성 마이크와 단일 지향성 마이크로 구분됩니다. 옴니지향성 마이크는 모든 방향에서 균등하게 소리를 수음하므로 일반적으로 라이브 공연에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반면 단일 지향성 마이크는 특정 방향에서만 소리를 수음합니다.
   카디오이드(심형) 마이크\모니터 스피커 배치
   마이크를 무대 모니터 스피커를 향해 지시할 때 피드백 하울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마이크의 지향성을 무대 모니터 스피커에서 멀어지도록 하는 것이 최선의 선택처럼 보입니다. 그러나 이는 카디오이드 마이크를 사용하는 경우에만 해당되는 전제 조건입니다. 카디오이드 지향성은 그 수음 범위가 하트 모양과 유사하다 하여 명명되었습니다.
   슈퍼카디오이드 마이크\모니터 스피커 배치
   다음으로 슈퍼카디오이드 마이크의 수음 패턴을 살펴보면, 마이크를 모니터 스피커에서 멀어지도록 지시하는 것이 항상 최선의 방법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슈퍼카디오이드 마이크는 정면과 정후면에서 오는 소리에 대한 감도가 거의 동일하기 때문입니다. 슈퍼카디오이드 마이크의 경우, 모니터 스피커의 축에서 약간 벗어나게 배치하는 것이 최선의 방법임을 알 수 있습니다. 무대 모니터 스피커 2개를 사용하거나, 마이크 각도를 조정하여 공연자를 최대한 정면으로 향하게 하는 것이 더 나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비결: 이득을 조금 더 필요로 한다면, 위상 반전을 시도해 보세요.
   1. 레벨 신호가 큰 마이크에 대해 위상 반전 처리를 합니다. 믹싱 콘솔의 극성 스위치를 통해 위상 반전 처리를 시도하면 종종 좋은 효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2. 대부분의 경우 전체 스피커 시스템에 위상 반전을 적용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모니터 스피커를 구동하는 앰프 출력의 (+)극과 (-)극 연결 케이블을 교환하여 시스템 위상 반전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 제가 몇 가지 점퍼 케이블을 만들어 두었기 때문에 여기서는 재배선할 필요가 없습니다. 비록 이 방법이 모든 상황에 적합한 것은 아니지만, 많은 경우 추가로 3dB의 이득을 얻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팁들은 모니터링 시스템의 음압 레벨이 클수록 좋다는 것을 알리기 위한 것이 아니며, 우리 모두는 사실 우리가 모니터링 시스템의 음압 레벨을 크게 요구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 지식을 실제에 적용할 수 있다면, 괴로운 피드백 하울링을 잘 피할 수 있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