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마이크 전문 용어 설명

2025-05-29
  8자형(Bi-directional, Figure-8) 패턴 마이크는 마이크 전방과 후방에서 소리를 수집하지만, 측면(90도 각도)에서는 수집하지 않습니다. 8자형 패턴 마이크는 일반적으로 리본 마이크나 라지 다이어프램 콘덴서 마이크입니다.
EQ 이퀄라이저
  이퀄라이제이션(EQ) 또는 톤 컨트롤은 이상적인 방식으로 주파수 응답(또는 음색)을 형성하는 것입니다. 이퀄라이저는 특정 주파수 범위에서 에너지(레벨)를 부스트(Boost)하거나 커트(Cut)할 수 있습니다. 전체 시스템의 평탄한 주파수 응답을 달성하거나 특정 악기의 사운드를 창의적으로 보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청취 권장사항
  마이크 모델 간의 차이를 완전히 분간하려면 하이파이 스피커, 헤드폰 또는 헤드셋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오디오 파일은 스테레오, 192kbps 비트레이트 및 MP3 포맷으로 녹음되었습니다.
전지향성(Omnidirectional)
  전지향성 마이크는 모든 각도에 대해 동일한 감도를 가집니다. 즉, 모든 방향에서 균등하게 소리를 수집합니다. 따라서 마이크가 특정 방향을 향할 필요가 없으며, 특히 라벨 마이크(Lavalier Mic)에 적합합니다. 전지향성 마이크의 단점은 방송 확성기와 같은 원치 않는 소음을 피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하울링(피드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데시벨 dB
  데시벨(dB)은 피트, 인치, 파운드와 같은 측정 단위가 아닙니다. 데시벨은 두 값 간의 비교이며, 전기 및 음향 측정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표현 방식입니다. 데시벨은 두 수치(예: 전압)의 비율을 나타내는 숫자입니다. 이것은 실제로 큰 측정 범위를 작고 관리하기 쉬운 범위로 축소하기 위한 로그 비율입니다. 전압의 데시벨 관계 공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dB = 20 x log(V1/V2)
다이버시티
  다이버시티 무선 수신기는 두 개의 개별 안테나를 갖추고 있어 신호의 연속적인 수신을 보장합니다. 한 안테나의 신호가 약해지거나 잡음이 생기면 다른 안테나가 수신하여 드롭아웃(Dropout)과 잡음 신호를 방지합니다.
다이나믹 마이크
  다이나믹 마이크는 구조가 상대적으로 간단하여 경제적이고 내구성이 뛰어납니다. 극한의 음압(SPL)을 견딜 수 있으며, 극한의 온도나 습도의 영향을 거의 받지 않습니다.
  다이나믹 마이크는 다이어프램, 보이스 코일 및 자석을 이용하여 소리를 포착합니다. 다이어프램 뒷면은 자기장 내에 있는 보이스 코일에 연결됩니다. 다이어프램이 포착한 소리는 자기장 내의 보이스 코일을 진동시켜 유도 전류를 생성합니다.
다이나믹 레인지
  마이크가 허용하는 최대 음압 레벨(SPL)과 최소 음압 레벨의 차이로 표시되며, 상한선은 허용 가능한 최대 음압 레벨을 의미합니다. 하한선은 해당 마이크의 등가 잡음 레벨(Equivalent Noise Level)에 따라 결정되며, 측정 단위는 데시벨(dB)입니다.
반 심형(Hemi-cardioid)
  반 심형(Hemi-cardioid) 패턴 마이크는 일반적으로 평평한 표면에 장착되는 바운더리 마이크(Boundary Mic, 인터페이스 마이크)입니다. 이들은 심형(Cardioid) 패턴을 사용하지만, 표면 위 반구형 범위의 소리만 수집합니다.
압축(Compression)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오디오 압축 포맷은 다음과 같습니다:
  AAC - 애플 압축 포맷
  FLAC - 무손실 압축 포맷
  Ogg - 보르비스(Vorbis) 압축 포맷
  MP3 - 가장 인기 있는 압축 포맷
  WAV - 무압축 및 무손실 디지털 오디오 포맷
  WMA - 윈도우 압축 포맷
컴프레서(Compressor)
  컴프레서는 오디오 신호의 다이나믹 레인지를 축소하는 장치입니다. 먼저 임계값(Threshold)을 설정합니다. 오디오 신호가 이 임계값보다 크면 게인(Gain)이 감소합니다. 게인이 감소하는 양은 압축률(Compression Ratio) 설정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비율이 2:1로 설정되면 입력 레벨이 2dB 증가할 때마다 출력 레벨은 1dB만 변하게 됩니다. 컴프레서의 다른 많은 매개변수(어택 타임, 릴리스 타임 등)도 특정 신호의 처리 성능에 영향을 미칩니다.
양방향(Bi-directional)
  양방향 패턴은 8 자형(Figure-8)이라고도 합니다. 8자형 패턴 마이크는 마이크 전방과 후방에서 소리를 수집하지만, 측면(90도 각도)에서는 수집하지 않습니다. 8자형 패턴 마이크는 일반적으로 리본 마이크나 라지 다이어프램 콘덴서 마이크입니다.
피드백(Feedback)
  모든 사운드 시스템은 정상 작동 중에 스피커에서 생성된 소리가 마이크에 의해 다시 포착될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소리가 시스템으로 다시 들어가 스피커에서 다시 증폭되어 출력됩니다. 그런 다음 다시 마이크에 의해 포착되는 과정이 반복됩니다. 이것을 피드백이라고 하며, 실제로 소리가 시스템으로 되돌아가는 현상입니다. 특정 순간에 이로 인해 시스템이 지속적이고 시끄러운 하울링 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라지 다이어프램(Large Diaphragm)
  스몰 다이어프램과 라지 다이어프램이라는 용어는 콘덴서 마이크에 사용됩니다. 라지 다이어프램은 지름이 최소 1인치(2.54cm) 이상입니다. 라지 다이어프램 마이크는 사운드에 하모닉스를 추가하여 더 부드럽게 들리게 하기 때문에 보컬 녹음에 자주 사용됩니다. 스몰 다이어프램 마이크는 평탄한 주파수 응답을 가지고 있어 사운드가 더 자연스럽기 때문에 악기 녹음에 보편적으로 사용됩니다.
와이드 카디오이드(Wide Cardioid)
  주로 전방과 측면에서 소리를 수집하며, 후방 소리를 어느 정도 억제합니다. 심형 마이크만큼 지향성이 강하지 않으며, 후방 소음을 약간 억제하는 전지향성 마이크와 유사합니다.
스몰 다이어프램(Small Diaphragm)
  스몰 다이어프램과 라지 다이어프램이라는 용어는 콘덴서 마이크에 사용됩니다. 라지 다이어프램은 지름이 최소 1인치(2.54cm) 이상입니다. 라지 다이어프램 마이크는 사운드에 하모닉스를 추가하여 더 부드럽게 들리게 하기 때문에 보컬 녹음에 자주 사용됩니다. 스몰 다이어프램 마이크는 평탄한 주파수 응답을 가지고 있어 사운드가 더 자연스럽기 때문에 악기 녹음에 보편적으로 사용됩니다.
작동 주파수(Operating Frequency)
  모든 무선 마이크 시스템은 특정 무선 주파수를 사용하여 사운드를 전송 및 수신하며, 이 주파수가 작동 주파수입니다. 무선 시스템을 사용할 때의 핵심은 올바른 작동 주파수를 선택하는 것입니다.
  무선 주파수를 임의로 조합해서는 안 됩니다. 마이크가 서로 간섭할 수 있고, 각 시스템에 잡음 간섭 및/또는 드롭아웃(무선 신호 손실)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동일한 위치에서 두 무선 시스템이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하나의 수신기로 두 개의 무선 마이크를 동시에 수신하는 것도 불가능합니다.
  고급 시스템은 더 많은 주파수 선택을 제공하고, 더 많은 수신기와 발신기를 유연하게 조합하여 사용자에게 더 많은 채널을 제공할 수 있습니다.
밸런스/언밸런스 회로(Balanced/Unbalanced Circuit)
  마이크 출력 신호는 두 가지 유형으로 분류됩니다 - 밸런스드(Balanced)와 언밸런스드(Unbalanced).
  언밸런스드 출력은 단일 도체(및 실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합니다. 이러한 회로는 인근 전원선의 험(Hum) 및 기타 유형의 전류 간섭을 쉽게 포착하여 가청 가능한 험을 발생시키고 음질을 저하시킬 수 있습니다.
  밸런스드 출력은 두 개의 도체(및 실드)를 통해 신호를 전송합니다. 두 도체의 신호 레벨은 동일하지만 극성이 반대입니다(즉, 하나는 +, 하나는 -). 이러한 회로도 전류 간섭의 영향을 받지만, 밸런스드 마이크 입력은 두 신호 간의 차이만을 증폭하고 도체에 동일한 레벨로 존재하는 신호 부분은 거부합니다.
  오디오+ - (오디오-) = 오디오 + 오디오 그리고 노이즈 - 노이즈 = 0.
  이것은 실제로 전류 잡음을 억제하여 더 강력한 오디오 신호를 제공합니다.
팬텀 파워(Phantom Power)
  모든 콘덴서 마이크는 작동하기 위해 팬텀 파워가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믹서가 마이크 케이블을 통해 마이크에 48볼트(때로는 12볼트) 전압을 공급합니다. 일부 콘덴서 마이크는 내부 배터리로 작동할 수 있으므로 팬텀 파워가 없는 믹서나 개인용 컴퓨터 사운드 카드에 적합합니다.
심형(Cardioid)
  심형 마이크는 전면 감도가 가장 강하고 후면 감도가 가장 약합니다. 이렇게 하면 불필요한 주변 소음을 차단하고 전지향성 마이크보다 반향음 제거 효과가 더 좋습니다. 따라서 심형 마이크는 특히 시끄러운 무대에 적합합니다.
총 고조파 왜곡(THD)
  총 고조파 왜곡(THD)은 장치가 생성하는 전류 잡음의 강도를 측정하는 데 사용되며, 주파수 응답을 제외하고 아마도 가장 일반적인 오디오 측정 방식일 것입니다.
  테스트 시, 고조파 순도가 알려진 단일 사인파 주파수를 테스트 장치를 통해 왜곡 측정 장비로 전송합니다. 기준 측정 레벨에 따라 장비는 테스트에 사용된 주파수를 계산한 다음, 남은 신호를 대역폭(일반적으로 20Hz-20kHz)에 맞게 조정된 일련의 대역 제한 필터를 통과시킵니다.
  마지막으로 남는 것은 노이즈이며, 여기에는 AC 전선[전원]의 험 또는 간섭음 등과 장치가 생성한 모든 고조파 왜곡이 포함됩니다.
픽업 패턴(Pickup Pattern)
  마이크의 픽업 패턴은 마이크가 각 방향 또는 각도에서 소리에 대한 감도를 의미합니다. 간단히 말해, 마이크가 다른 방향에서 소리를 포착하는 능력입니다. 가장 일반적인 지향성 유형은 전지향성(Omnidirectional), 심형(Cardioid), 슈퍼카디오이드(Supercardioid)입니다.
트랜스듀서(Transducer)
  트랜스듀서는 에너지를 한 형태에서 다른 형태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마이크 트랜스듀서는 음향 에너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합니다. 가장 일반적인 두 가지 트랜스듀서 유형은 다이나믹 트랜스듀서와 콘덴서 트랜스듀서입니다.
영구 바이어스(Permanent Bias)
  콘덴서 마이크의 다이어프램(멤브레인 및 백플레이트)은 축전기를 충전하기 위해 편향 전압(Polarization Voltage)이 필요합니다. 백플레이트에 일렉트릿(Electret, 합성된 편극 재료)이 연결되면 외부에서 편향 전압을 제공할 필요가 없습니다. 그러나 일렉트릿 콘덴서 마이크도 여전히 작동을 위해 프리앰프에 전원(배터리 또는 팬텀 파워)이 필요합니다.
감도(Sensitivity)
  특정 음압 레벨(SPL)에서 마이크가 생성하는 전기 신호의 강도를 의미합니다. 대부분의 경우 감도는 94dB(1 파스칼)의 음압 레벨을 사용하여 측정됩니다. 감도가 높을수록 마이크 음량이 더 크게 들립니다.
  감도의 단위는 [mV/Pa] 또는 [dB/Pa]입니다.
  콘덴서/콘덴서 마이크(Capacitor/Capacitor Microphone)
  콘덴서 마이크는 감도가 높고 소리가 부드럽고 자연스럽지만, 구동을 위해 전원이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대전된 다이어프램과 베이스 플레이트 조합을 사용하여 음향에 민감한 축전기를 형성합니다.
  소리가 다이어프램을 진동시키면 다이어프램과 베이스 플레이트 사이의 거리가 변합니다. 거리의 변화는 축전기의 용량을 변경하고 전기 신호를 생성합니다.
  모든 콘덴서 마이크는 구동을 위해 전원이 필요합니다: 마이크에 배터리를 설치하거나 팬텀 파워를 통해 공급받을 수 있습니다.
자체 노이즈(Self-Noise)
  자체 노이즈는 시스템 자체에서 생성되는 전류 잡음입니다. 절대 영도보다 높은 온도에서는 모든 전자 부품이 자체 노이즈를 생성합니다. 전자가 이동하면 노이즈가 발생합니다.
  부품 노이즈와 그 부품이 있는 회로의 노이즈는 오디오 트랙의 일부이며, 두 노이즈를 합하면 장치의 자체 노이즈가 됩니다.
  마찬가지로 오디오 시스템 내의 모든 이러한 장치를 결합하면 해당 시스템의 자체 노이즈를 얻을 수 있습니다.
  이 자체 노이즈는 장치 또는 시스템의 고유 노이즈를 나타냅니다. 이 노이즈 레벨과 장치 내 신호 레벨의 차이가 신호 대 잡음비(S/N 비)입니다.
슈퍼카디오이드(Supercardioid)
  슈퍼카디오이드 마이크는 심형 마이크보다 수집 영역이 좁아 주변 소음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마이크는 후면에서도 소리를 포착하므로 모니터 스피커가 올바르게 배치되어야 합니다. 슈퍼카디오이드 마이크는 시끄러운 환경에서 단일 음원을 포착하고 하울링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하이퍼카디오이드(Hypercardioid)
  하이퍼카디오이드 마이크는 슈퍼카디오이드 마이크보다 수집 영역이 좁아 주변 소음을 더 효과적으로 제거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마이크는 후면에서도 소리를 포착하므로 모니터 스피커가 올바르게 배치되어야 합니다. 하이퍼카디오이드 마이크는 시끄러운 환경에서 단일 음원을 포착하고 하울링을 가장 효과적으로 제거하는 데 가장 적합합니다.
근접 효과(Proximity Effect)
  모든 지향성 마이크(심형, 슈퍼카디오이드)에는 소위 근접 효과가 있습니다. 마이크가 음원에 가까워지면 저음 응답이 증가하여 소리가 더 풍부해집니다. 전문 가수들은 종종 이 효과를 활용합니다. 효과를 테스트하려면 노래할 때 마이크를 점차 입술 가까이 가져가면서 소리 변화를 들어보십시오.
리본/리본 마이크(Ribbon/Ribbon Microphone)
  리본은 리본 마이크에서 소리를 포착하는 부품으로, 일반적으로 강한 자성 장치의 두 극 사이에 매달린 매우 얇은 전도성 알루미늄 포일 스트립입니다. 한쪽 끝은 접지된 극에 닿고 다른 쪽 끝은 절연되어 있습니다. 이 설계는 전도성 포일이 강한 자기장 내에서 진동할 때 신호 전압을 생성할 수 있게 합니다.
  리본 마이크는 전형적인 양방향 마이크입니다. 마이크는 전방과 후방에서 소리를 수집하지만 측면(90도 각도)에서는 수집하지 않습니다.
임피던스(Impedance)
  회로가 교류(전류)의 통과에 대해 가지는 저항 정도를 의미하며, 단위는 옴(Ohm)입니다. 임피던스가 낮을수록 마이크를 통과하는 전류가 많아집니다. 마이크의 출력 임피던스는 마이크 입력 믹서의 입력 임피던스보다 훨씬 낮아야 합니다.
주파수(Frequency)
  소리 또는 전파가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를 의미하며, 일반적으로 헤르츠(Hz) 단위로 표시됩니다. 소리 진동의 주파수는 우리가 듣는 음높이(Pitch)와 직접적으로 관련이 있습니다.
  무선 마이크 시스템에서 오디오는 특정 주파수의 전파를 통해 전파됩니다. 송신기와 수신기는 동일한 주파수로 설정되어야 합니다.
주파수 응답(Frequency Response)
  마이크가 포착할 수 있는 최저 주파수부터 최고 주파수까지의 범위를 의미합니다. 또한 특정 주파수에 대한 마이크의 감도를 설명합니다. 예를 들어, 특정 주파수에 대해 감도가 특히 높을 수 있습니다. 주파수 응답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범주로 나뉩니다:
  평탄 주파수 응답(Flat Frequency Response): 마이크가 모든 가청 주파수(20Hz – 20kHz)를 동등하게 포착합니다. 녹음과 같이 원음을 변경하거나 보정 하지 않아야 하는 사운드 재현 애플리케이션에 가장 적합합니다.
  특정 주파수 응답(Tailored Frequency Response): 특정 응답은 일반적으로 특정 애플리케이션에서 음원을 강화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마이크가 라이브 보컬의 선명도를 높이기 위해 2 – 8 kHz 범위에서 피크를 가질 수 있습니다.
일렉트릿(Electret)
  일렉트릿 마이크는 콘덴서 마이크와 유사합니다. 콘덴서 마이크의 다이어프램은 축전기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편향 전압이 필요합니다. 일렉트릿은 영구적으로 편극된 합성 재료입니다. 이것은 백플레이트에 연결되어 외부 편향 전압이 필요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일렉트릿 콘덴서 마이크는 작동을 위해 프리앰프에 전원(배터리 또는 팬텀 파워)이 필요합니다.
  이들은 크기가 작고 콘덴서 마이크처럼 감도가 높으며 소리가 부드럽고 자연스럽습니다.